『(함께 만들어가는 세상을 찾아서)사회의 재창조』 목차
서문 다문화사회의 통합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사회의 상실/문화의 기술/자유민주주의의 수호 1부 우리는 어떻게 현재에 이르렀는가 1장 사회의 형태:시골 별장으로서의 사회/호텔로서의 사회/포스트 다문화주의 2장 다문화주의의 역사문화다원론/다문화주의의 탄생 3장 자유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자유의 패배도덕의 법제화/미덕 이후의 시대/지적 배신/폭력의 시작 4장 희생자희생자로서의 범죄자/희생자의 정치학/행위자에서 희생자로/과학과 자유의 죽음/권리와 승인/자발적인 희생 5장 기술과 문화의 분열인쇄술과 민족국가/글로벌미디어와 자생문화의 종말/세계화기구와 분열 6장 내적 도피정체성의 탐구/부족으로의 회귀/통합주의의 붕괴/국민국가에서 '작은 국가들로'/이 장을 마치며 2부 새로운 사회의 창조 7장 잊혀진 정치학의 고전정치적..
도저언-/사회의 재창조(조너선 색스)
2017. 6. 11. 17:46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엄마
- 공감
- 리스본행 야간열차
- ㅅㅌㅅㅌ
- 그림
- 과학책 읽기
- microsoftkorea
- microsoft
- 새김말
- 협업
- 교육
- 집필
- 하계학술대회
- 가족
- 작업일기
- 사회의 재창조
- 아들
- 우주
- 과정중심평가
- 연구 활동
- 아빠
- 교실
- 아마데우 드 프라두
- 실험교실
- 혁신
- 독서법
- 정상과 비정상
- hacktheclassroom
- 교사
- 한국과학교육학회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